
오늘은 다른사람의 깃허브 레포지토리에서 클론받아 본인 레포지토리에 업로드 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먼저 클론받은 작업을 옮길 본인의 레포지토리를 새로 만들어 주세요.

 
 
다음으로 가져오고 싶은 다른사람의 깃허브 레포지토리로 들어가줍니다.
 code  버튼 누르고 링크를 복사해 줍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 git Bash Here 로 터미널 창을 켜주고, 아래와 같이
 git clone 복사한 레포지토리 주소 를 입력해줍니다.

clone받은 새로운 폴더가 바탕화면에 생긴 것을 확인하고, 해당 폴더로 들어가기 위해
 cd 폴더이름/ 


여기까지가 처음 폴더를 생성해서 vscode에 들어가는 것과 똑같은 과정!!
 
⭐기존에 클론받은 작업으로 시작할때 살펴야할 것⭐
✔ .gitignore확인하기
✔  requirements.txt 파일로 필요한 요소들을 설치받기
 
 
먼저 .gitignore 파일을 열어보면, myvenv/라는 이름이 보이는데요,

우리도 똑같이 myvenv 라는 이름의 가상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다음으로 앞서 말한 requirements.txt파일로 작업에 필요한 것들을 한꺼번에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새로운 깃허브에 올리기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하지만 아직 클론 받은 작업이 여전히 다른사람의 깃허브 repository와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현재 git remote 되어있는 레포지토리를 끊어주고 새로 연결해주어야 합니다.
 
 git remote remove 
-> 기존 remote(연결) 끊기
git remote -v 
->연결 잘 끊겼는지 확인(아무것도 안뜨면ok)
 git remote add origin 새로만든 레포지토리 주소 (복붙)
 git remote -v 
->본인걸로 잘 연결됬는지 확인

 
잘 연결되었으면, 코드에 변경사항을 주고, 
평소 커밋하듯이 똑같이 입력해줍니다.
 git add .
git commit -m "커밋메시지"
git push origin master
 
 
끝
'Develop > 렛츠 GIT 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GitHub 시작하기(1) (0) | 2021.05.10 | 
|---|
										
									
댓글